Surprise Me!

[경제PICK] 한풀 꺾인 상승세...숨 고르기? 추세 전환? / YTN

2024-09-20 21 Dailymotion

■ 진행 : 김영수 앵커, 이하린 앵커 <br />■ 출연 : 김기봉 YTN 경제부 기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ON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한풀 꺾인 상승세, 숨 고르기냐 추세 전환이냐? 아파트값 추이를 말하는 것 같은데, 많이 꺾였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예, 정확히 말하자면 꺾인 건 아니고 상승세가 좀 누그러졌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주간 자료가 나왔는데, 아파트값 상승을 주도한 서울을 일단 보면 여전히 상승세가 이어져 26주 연속 상승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상승 폭에서 추이의 변화가 감지됩니다. <br /> <br />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은 8월 둘째 주까지 계속 커져 0.32%를 기록했는데, 그다음 주부터 점점 줄다가 지난주에 다시 소폭 늘어나 어떤 추이가 될지 관심이었는데, 이번 주 결과를 보니 다시 꽤 큰 폭으로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니까 아파트값 자체는 여전히 오르고 있지만 그 기세가 약해지고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만약 오름폭이 지난주에 이어 이번 주에도 더 커졌으면 상승 여력이 여전하다고 봤을 텐데, 오늘 좀 큰 폭으로 줄어서, 일단 상승 동력이 약해지고 있다는 건 분명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렇게 상승 동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지역별로는 어떤 차이가 나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일단 크게 보면 전국적으로 비슷한 현상입니다. <br /> <br />가격 상승률을 지난주와 비교해보면 수도권이 0.15%에서 0.11%로 줄었고, 지방은 -0.01%에서 -0.02%로 하락 폭이 커져서 전국으로 봐도 상승률이 0.07%에서 0.05%로 좀 위축됐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서울에서도 가격 상승을 주도했던 강남 3구는 서초구 0.32%, 송파구 0.28%, 강남구 0.22%로 여전히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러면 상승 동력이 떨어지는 원인이 뭐라고 볼 수 있을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크게 두 가지로 분석이 되는데요. <br /> <br />일단 상승세를 타고 매도자들이 집값을 너무 크게 올려 추격매수를 하려던 사람들이 벅차서 일단 관망세로 돌아선 게 있고, 또 하나는 대출 규제로 인한 금융 부담이 원인으로 지목됩니다. <br /> <br />이달부터 시행된 2단계 스트레스 DSR이 투자심리도 위축시키고 실제로 융통할 수 있는 자금 규모도 옥죄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2단계 규제 시행으로 소득 5천만 원의 근로자가 변동금리로 대출받을 경우 2천8백만 원가량 대출 한도가 줄어듭니다. <br /> <br />역설적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920171002039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